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골다공증-검사-병원-비용을-알아보고-건강관리하는-여성의-모습

     

    골다공증 검사 종류와 과정, 골밀도 검사 (BMD), 혈액검사 (P1NP, CTX), 병원 비용, 가격과 건강보험 적용기준까지 살펴봅니다.

     

     

    골다공증 검사 종류와 과정

     

    골밀도 검사 (BMD) 방법

    골밀도 검사는 뼈의 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 측정법(DXA)이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검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속성 물체를 모두 제거합니다.
    • 검사 테이블에 누워 천장을 바라봅니다.
    • X-ray 장비가 몸 위를 지나가며 골밀도를 측정합니다.
    • 전체 과정은 약 5분 정도 소요됩니다.
    주로 골절이 자주 발생하는 허리뼈와 대퇴골 부위를 측정합니다. 검사 결과는 T-점수로 표시되며, -2.5 이하일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합니다.

     

    혈액검사 (P1NP, CTX) 설명

    골다공증 진단에는 혈액검사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검사는 P1NP와 CTX입니다.

     

    1. P1NP (Procollagen Type 1 N-terminal Propeptide) 검사

     

    • 뼈 형성과 관련된 단백질을 측정합니다.
    • 골다공증 치료 초기에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2. CTX (C-terminal Telopeptide) 검사

     

    • 뼈 흡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골다공증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 두 검사는 보통 3개월 간격으로 실시하여 치료 약물의 효과를 확인합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대부분의 병원에서 가능하며, 비용은 의원급 병원 기준으로 1만 2천 원에서 3만 원 후반 대입니다. 단, 만 65세 이상 여성과 만 70세 이상 남성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검사 비용

     

    의원급 병원 검사 비용

    의원급 병원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받을 경우, 일반적으로 4만 원에서 5만 원 사이의 비용이 듭니다. 비급여 항목으로 처리되는 경우의 가격입니다. 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 비용의 절반 정도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적용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만 65세 이상 여성
    • 만 70세 이상 남성
    • 65세 미만이라도 고위험군에 속하는 폐경 후 여성
    고위험군 기준은 BMI 18.5 미만의 저체중, 비외상성 골절 과거력이나 가족력, 40세 이전 조기 폐경 등입니다.

     

    종합병원 / 대학병원 검사 비용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의 골다공증 검사 비용은 의원급 병원보다 조금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5만 원에서 7만 원 사이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경우, 본인부담금은 검사 비용의 30-40% 정도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부담하는 비용은 2만 원에서 3만 원 사이가 될 수 있습니다.

     

    보건소 검사 비용

    보건소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보건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1만 원 이내의 저렴한 비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북구 보건소의 경우 5,930원의 비용으로 골밀도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구로구 보건소에서는 만 65세 미만 구민의 경우 7,000원, 만 65세 이상이나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의 경우 3,500원에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대부분의 보건소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무료로 골다공증 검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골다공증 건강보험 적용 기준

     

    연령별 건강보험 적용 기준

    연령에 따른 건강보험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65세 이상 여성 : 골밀도 검사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70세 이상 남성 : 여성과 마찬가지로 골밀도 검사에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이 연령 기준에 해당하는 분들은 본인부담금 20%만 내고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검사 비용의 80%를 건강보험에서 지원받게 됩니다.

     

    고위험군 대상 건강보험 적용 조건

    65세 미만이라도 다음과 같은 고위험군에 해당하면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폐경 후 여성 중 고위험 요소가 1개 이상 있는 경우

     

    • 저체중 (BMI < 18.5)
    • 비외상성 골절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외과적인 수술로 인한 폐경 또는 40세 이전의 자연 폐경
    2. 비정상적으로 1년 이상 무월경을 보이는 폐경 전 여성
    3. 비외상성 골절이 있는 경우
    4.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5.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3개월 이상 투여 계획이 있는 경우
    6. 기타 골다공증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
    이러한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의사의 판단 하에 골밀도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검사의 건강보험 적용은 진단 시 1회 인정되며, 추적검사의 경우에는 검사 결과에 따라 주기가 달라집니다. 정상 골밀도로 확인된 경우 2년마다, 그 외의 경우 1년마다 추적검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 54세와 66세 여성의 경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밀도 검사를 받을 수 있으니 이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다공증 검사주기 권장대상

     

    연령대별 권장 검사 주기

    골다공증 검사 주기는 연령과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게 권장됩니다.

     

    1. 65세 이상 여성과 70세 이상 남성

     

    • 처음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면 2년마다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골밀도가 낮거나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는 1년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2. 50-64세 여성과 50-69세 남성

     

    • 골다공증 위험 요인이 있다면 1-2년마다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위험 요인이 없다면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검사 주기를 결정하면 됩니다.
    3. 50세 미만

     

    • 일반적으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단, 고위험군에 해당한다면 의사와 상담 후 검사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골다공증 고위험군 대상

    다음에 해당하는 분들은 골다공증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더 자주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1. 저체중 (BMI 18.5 미만)인 경우
    2. 비외상성 골절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3. 40세 이전에 조기 폐경을 겪은 여성
    4. 1년 이상 비정상적으로 무월경을 보이는 폐경 전 여성
    5. 스테로이드를 3개월 이상 복용 중인 경우

     

    • 이 경우, 첫 1년은 6개월마다 검사를 받고, 그 이후에는 1년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6.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있는 경우
    7.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복용 중이거나 3개월 이상 투여 계획이 있는 경우
    특히 주목할 점은 만 54세와 66세 여성의 경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밀도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골다공증에 취약한 중년 여성의 조기 진단을 돕기 위한 정책입니다.

     

     

    골다공증 검사 중요성과 효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

    골다공증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질병'이라고 불립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골절이 발생한 후에야 골다공증을 진단받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는 이미 뼈의 강도가 많이 약해진 상태입니다.

    조기 진단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골손실 예방 : 골다공증을 조기에 발견하면 더 이상의 골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치료 : 초기 단계에서 치료를 시작하면 약물 반응이 더 좋습니다.
    • 삶의 질 향상 : 골절로 인한 통증과 활동 제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경 후 여성이나 65세 이상 남성은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건강검진에서도 만 54세와 66세 여성에게 골밀도 검사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를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골절 예방 효과와 의료비 절감

    골다공증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골절 예방에 큰 효과가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골절 위험 감소 : 골다공증 치료를 통해 척추 골절은 30-70%, 고관절 골절은 30-5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의료비 절감 : 골절 예방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의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대한골대사학회의 연구에 따르면, 골다공증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은 환자는 치료를 중단한 환자에 비해 1인당 약 135만 원의 직접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 : 골절로 인한 생산성 손실까지 고려하면, 골다공증의 지속적인 치료로 환자 1명당 총 2900만 원가량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국가적 차원의 절감 효과 : 2022년 기준 국내 전체 골다공증 환자 약 118만 명이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는다면, 1조 원이 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골다공증 검사는 비용 대비 효과가 매우 높은 검사입니다. 의원급 병원에서는 1만 2천 원에서 3만 원 후반대의 비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보건소에서는 더 저렴한 가격에 검사가 가능합니다.

    또한, 만 65세 이상 여성과 만 70세 이상 남성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으로 골절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골다공증 검사는 매우 중요하고 효과적인 건강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검사 후 관리와 치료

     

    검사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

    골다공증 검사 결과는 T-점수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T-점수에 따른 후속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상 (T-점수 ≥ -1.0)

     

    • 일반적인 건강 관리와 함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개선을 권장합니다.
    • 2년 후 재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2. 골감소증 (-2.5 < T-점수 < -1.0)

     

    • 칼슘과 비타민 D 섭취를 늘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권장합니다.
    • 1년 후 재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3. 골다공증 (T-점수 ≤ -2.5)

     

    • 약물 치료를 시작합니다.
    •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추적 관찰을 실시합니다.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경우, 의사는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이차성 골다공증의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또한 척추 골절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X-ray 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치료제 보험 적용

    골다공증 치료제의 보험 적용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1. 65세 이상의 여성과 70세 이상의 남성

     

    • T-점수 ≤ -2.5인 경우 보험이 적용됩니다.
    2. 65세 미만의 폐경 후 여성과 70세 미만의 남성

     

    • T-점수 ≤ -3.0이거나,
    • T-점수 ≤ -2.5이면서 골다공증성 골절이 있는 경우 보험이 적용됩니다.
    3. 스테로이드를 3개월 이상 복용 중이거나 예정인 경우

     

    • T-점수 ≤ -1.5이면 보험이 적용됩니다.
    주요 골다공증 치료제와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스포스포네이트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 경구 또는 주사로 투여합니다.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SERM) :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 부갑상선 호르몬 제제 : 중증 골다공증 환자에게 사용되며, 주사로 투여합니다.
    • 데노수맙 : 6개월마다 주사로 투여하는 약물로, 골흡수를 억제합니다.
    치료 시작 후에는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료 시작 1년 후 골밀도 검사를 실시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합니다. 이후에는 1-2년 간격으로 검사를 받게 됩니다.

    골다공증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환자의 꾸준한 관리와 의사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함께 적절한 칼슘, 비타민 D 섭취,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 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골다공증 검사 병원 FAQ

     

    Q : 골다공증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대부분의 병원과 보건소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의원급 병원, 종합병원, 대학병원, 보건소 등에서 검사가 가능합니다.

     

    Q : 골다공증 검사 비용은 얼마인가요?

    의원급 병원 기준으로 1만 2천 원에서 3만 원 후반 대입니다.

    보건소에서는 더 저렴한 가격 (5천 원~1만 원 내외)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만 65세 이상 여성과 만 70세 이상 남성은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또한 만 54세와 66세 여성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부담금은 얼마인가요?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검사 비용의 20%만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검사 비용이 3만 원이라면 본인부담금은 6천 원입니다.

     

    Q : 고위험군은 어떤 경우에 해당하나요?

    저체중 (BMI 18.5 미만), 비외상성 골절 과거력이나 가족력, 40세 이전 조기 폐경 등이 고위험군에 해당합니다.

    이런 경우 65세 미만이라도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Q : 골다공증 검사는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1-2년마다 검사를 받습니다.

    정상 골밀도인 경우 2년마다,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경우 1년마다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 골다공증 검사 시 준비사항이 있나요?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다만, 금속성 물체 (장신구 등)는 제거해야 합니다. 검사 당일 편한 옷차림으로 오시면 됩니다.

     

    Q : 검사 결과는 언제 알 수 있나요?

    대부분의 경우 검사 직후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을 통해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Q : 골다공증 약물 치료도 건강보험이 적용되나요?

    네,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경우 대부분의 치료제에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단, 골밀도 수치와 연령 등에 따라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Q : 보건소에서 받은 검사 결과로 병원 진료가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보건소에서 받은 골밀도 검사 결과지를 가지고 병원에 가시면 추가 검사 없이 진료와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